반응형
React Native 개발 환경 세팅
React Native 개발 환경 세팅입니다. 맥(Mac) OS M1 전용 환경세팅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. Expo CLI와 React-Native CLI, 2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React-Native CLI를 구축하는 방법 입니다.
아래는 기본적으로 환경세팅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니 프로그램 설치 후 진행 부탁드립니다.
- homebrew 설치
- Item2 설치 (선택입니다. 기본 터미널도 가능합니다.)
# homebrew 설치 커맨드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# 버전 확인
brew --version
# 경로 확인
which brew
# arm64 architecture(m1 mac 경로): /opt/homebrew
1. 공통 Setting
- zsh 설치
# zsh 설치
brew install zsh
# .zshrc 파일 확인
ls -al
zsh에 관하여 더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글을 더 참고해 주세요
- iTerm2 실행할 때마다 homebrew 실행 설정
vim ~/.zshrc
# brew
export PATH=/opt/homebrew/bin:$PATH
# 저장 후 종료
:wq
# zsh 설정 파일 실행
source ~/.zshrc
- Node 설치
brew install node
# 버젼 확인
node --version
- nvm 설치 (선택)
# nvm 설치
brew install nvm
# iTerm2 실행할 때마다 nvm 실행 설정
vim ~/.zshrc
# 아래 코드 복사 붙여넣기
# NVM
export NVM_DIR="$HOME/.nvm"
[ -s "/opt/homebrew/opt/nvm/nvm.sh" ] && . "/opt/homebrew/opt/nvm/nvm.sh"
# This loads nvm
[ -s "/opt/homebrew/opt/nvm/etc/bash_completion.d/nvm" ] && . "/opt/homebrew/opt/nvm/etc/bash_completion.d/nvm"
# 저장 후 종료
:wq
source ~/.zshrc
# 설치 후 아래 명령어로 nvm default node버전을 셋팅해준다.
nvm install 설치할 노드 버전
- M1 mac 로제타 설정
xcode
- 응용 프로그램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⇒ 정보 가져오기 ⇒ Rosetta를 사용하여 열기 체크
iTerm2
- 응용 프로그램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⇒ 정보가져오기 ⇒ Rosetta를 사용하여 열기 체크
2. IOS Setting
- Xcode 설치
설치시간이 대략 3시간이니 미리 앱 스토어에서 인스톨하는 게 좋습니다.
- watchman 설치
# watchman 설치
brew install watchman
# 버전 확인
watchman --version
- cocoapods 설치
# cocoapods 설치
brew install cocoapods
# 버전 확인
pod --version
- ffi 설치
# ffi 설치
sudo gem install ffi
vim ~/.zshrc
# 제일 아래에 추가
# GEM
export GEM_HOME=$HOME/.gem
export PATH=$GEM_HOME/bin:$PATH
:wq
source ~/.zshrc
- Xcode 시뮬레이터 설치
- Xcode 실행 후 -> 상태 바 xcode -> Preferences 열기
- Components -> 원하는 시뮬레이터 IOS 소프트웨어 버전 설치
3. Android Setting
- Android JDK 설치
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아래와 같이 zsh 설정 파일 적용
vim ~/.zshrc
# 맨 아래에 추가
# JDK
export JAVA_HOME=/Library/Java/JavaVirtualMachines/zulu-11.jdk/Contents/Home
export PATH=${PATH}:$JAVA_HOME/bin
:wq
source ~/.zshrc
# java_home 확인
/usr/libexec/java_home -V
더 자세한 참고
- Android Studio 프로그램 설치
Mac 64bit ARM으로 인스톨 진행합니다.
- SDK 설정
Android Studio 실행 후 SDK 설치 경로 복사
- 아래와 같이 토글 클릭 후 메뉴에서 SDK Manager 선택
- Android SDK Location 경로 복사해 둡니다.
SDK Tools 설정 및 다운로드
- SDKTools 클릭 후 아래와 같이 체크 후 'Apply' 버튼을 눌러 인스톨/적용합니다. (아래의 이미지는 제 개발 환경 세팅입니다. 추후 개인의 각자 개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)
zsh 설정 파일에 SDK 설정 추가
vim ~/.zshrc
# 맨 아래 추가
export ANDROID_HOME=/Users/young/Library/Android/sdk <- 여기에 Android SDK Location 경로 복사한거 붙여넣기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emulator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tools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tools/bin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platform-tools
:wq
source ~/.zshrc
- Android 시뮬레이터 설치
- 아래와 같이 토글 클릭 후 메뉴에서 Virtual Device Manager 선택
- 원하는 디바이스 선택
- M1에서 안 돌아가는 디바이스가 있으니 참고 이미지처럼 Pixel2로 선택 추천합니다. (제 M1 Mac에서는 Pixel2로 잘 실행됩니다.)
- Release Name 선택(처음에는 설치를 해줘야 됨, 다운로드 후 선택)
- 마찬가지로 Release Name이 'S'을 추천합니다. (제 M1 Mac에서는 'S'로 잘 실행됩니다.)
- 지금까지 원하는 설정 후 Finish 버튼을 클릭하면 AVD가 생성됩니다.
4. React-Native CLI 설치 및 프로적 트 실행
- 설치 전 캐시 삭제
pod cache clean --all
yarn cache clean
rm -rf ~/Library/Developer/Xcode/DerivedData/*
- React-Native CLI 설치
npm install -g react-native-cli
# 버젼 확인
react-native --version
- 프로젝트 생성 및 실행
npx react-native init [프로젝트명]
# ios
cd ios
pod install
cd ../
npm run ios
# android
npm run android
프로젝트 시뮬레이터가 등장하고 아래와 같이 'Success'가 등장하면 빌드 성공입니다!
최종 zsh입니다. 빠트린 것이 없는지 체크하세요~!
export PATH=/opt/homebrew/bin:$PATH
export NVM_DIR="$HOME/.nvm"
[ -s "/opt/homebrew/opt/nvm/nvm.sh" ] && . "/opt/homebrew/opt/nvm/nvm.sh"
[ -s "/opt/homebrew/opt/nvm/etc/bash_completion.d/nvm" ] && . "/opt/homebrew/opt/nvm/etc/bash_completion.d/nvm"
export GEM_HOME=$HOME/.gem
export PATH=$GEM_HOME/bin:$PATH
export ANDROID_HOME=/Users/young/Library/Android/sdk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emulator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tools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tools/bin
export PATH=$PATH:$ANDROID_HOME/platform-tools
export JAVA_HOME=/Library/Java/JavaVirtualMachines/zulu-11.jdk/Contents/Home
export PATH=${PATH}:$JAVA_HOME/bin
감사합니다!
반응형
'프로그래밍 개발 > React Nati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Native - E2E UI 테스트 도입, Detox (0) | 2023.08.18 |
---|---|
React Native - Firebase Push Notification, Image 이미지 표시 iOS 환경 세팅 (0) | 2023.08.16 |
React Native - 코드 푸쉬(Code Push) 정의 / 개발 환경 세팅 / Staging 환경 세팅 (0) | 2023.08.10 |
React native - 파이어베이스(FireBase) Ios, Android 세팅하기 (0) | 2021.10.06 |
React Native - 딥링크(Deep Link) Ios, Android 구현하기 (0) | 2021.10.0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