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브렌치를 이용한 커밋 돌리기 실핼 순서
- 되돌릴 커밋 대상으로 브랜치 생성
- 체크아웃
- 변경 사항 수정 후 커밋
- master에 머지
장단점
- 장점: 쉽다. 기록이 다 남아 있다.
- 단점: 트리가 지저분해진다.
테스트를 위해 임의 텍스트 코드를 적고 커밋하였다.
그리고 테스트를 위해 방금 전 커밋한 텍스트 코드를 수정하여 다시 커밋하였다.
다시 처음에 커밋했던 곳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되돌리고 싶은 커밋에 바로가기 메뉴에서 브렌치를 클릭하여 생성한다.
- 생성한 브렌치로 체크 인 하자 다시 처음 커밋했던 상태로 돌아가게 되었다.
- 결국 이 상태에 코드의 변경 사항 수정 후 커밋 하고 수정한 코드를 master에 방영하기 결정한다면 master 브렌치로 돌아가 master를 푸시 후 생성한 다른 브렌치에서 수정한 코드와 머지 병합하면 해결할 수 있다.
- 다시 한번 확인해 본다면 생성한 브렌치에서 체크아웃하고 master로 돌아가면 다시 두번 째 커밋했던 환경으로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.
반응형
'프로그래밍 개발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HUB+sourceTree revert로 여러 커밋 되돌리기 (0) | 2020.11.20 |
---|---|
GITHUB+SourceTree revert를 사용해서 커밋 되돌리기 (0) | 2020.11.16 |
GITHUB+sourceTree reset을 이용한 커밋 되돌리기 (0) | 2020.11.09 |
GITHUB+sourceTree 브렌치 pull 및 충돌 해결 (0) | 2020.11.09 |
GITHUB+sourceTree 브렌치 병합(merge) (0) | 2020.11.06 |
댓글